용수리 폔션

용수리 펜션의 벽 붙이기 담과 가드 담, 그리고 데크 하부 마감 돌담의 작업입니다.
용수리 펜션은 주택의 높이가 상당히 높은 관계로 벽 붙이기 담 시공 시 낙석의 위험을 방지하고자 500mm 간격으로 고정 석제 앙카를 이용하여 시공하였습니다.
펜션인 만큼 정성 들여 시공한 돌담입니다.

용수리 돌담사진1

용수리 돌담사진2

용수리 돌담사진3

용수리 돌담사진4

용수리 돌담사진5

곽지리 폔션

곽지리 펜션의 벽 붙이기 담과 경계 외 담, 도로 접 겹담 돌담의 작업입니다.
주차장 측면의 외담 벽 붙이기 담은 주차장 지반의 많은 다운으로 인하여 고심 끝에 시각적으로 겹담 효과를 볼 수 있도록 계단형 돌담으로 시공하였습니다.
이러한 돌담 형태는 제주에서도 찻아 보기 힘든 독창적인 돌담 하우스 만의 시공법입니다.

곽지리 돌담사진1

곽지리 돌담사진2

곽지리 돌담사진3

곽지리 돌담사진4

곽지리 돌담사진5

곽지리 돌담사진6

곽지리 돌담사진7

사계리 개인주택 토목 지반공사

건축주께서 구입하신 토지가 전이었기에 지반이 찰흙이었던 관계로 안타깝게도 비와 습이 많은 제주에서 주택지로는 불가한 토지였습니다.
지반 공사를 몰라서 안 하신 상황이었으므로 토지의 물 빠짐이 전무한 현장이었습니다.
건축주의 사정을 충분한 상담 후 450평 상당의 앞마당을 골제와 매립석으로 다지고 침투 조를 만드는 과정을 거쳐 일주일만에 만족스러운 시공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어려운 현장이었음에도 순조롭게 공기를 마칠 수 있었던 이유는 돌담하우스건축업을 기반으로 하는 돌담 시공사이기에 가능했던 현장이었습니다.

사계리 돌담사진1

사계리 돌담사진2

사계리 돌담사진3

사계리 돌담사진4

사계리 돌담사진5

사계리 돌담사진6

두모리 전원주택

건축주의 의견을 100% 반영하여 자연석과 나무, 푸른 잔디의 조화로움을 살리는 것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그로 인하여 목수 팀과의 연계가 중요하였고 기술적인 한계의 극복을 통한 결과물로 나무와 조화로운 벽 붙이 담이 나올 수 있었습니다.

두모리 돌담사진1

두모리 돌담사진2

두모리 돌담사진3

두모리 돌담사진6

귀덕 높은담 시공

펜션으로 사용하는 공간 분리프라이버시를 생각하시는 건축주의 의견을 반영하여 2m높이에 가까운 높은 담을 기반으로 돌담 공사를 진행하였습니다.
통상적으로 외담과 겹담의 높이가 1m 50cm 이상을 잘 넘어가지 않지만 돌담 하우스는 안전하게 높은담을 시공 하여드린 사례입니다.

귀덕 돌담사진1

귀덕 돌담사진2

귀덕 돌담사진3

동명리 시공

대구에 거주하시는 토지주께서 소유하신 토지가 인근 토지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여 우천시 흙이 유실되는 등 지역 주민민원이 발생한 상태에서 돌담하우스로 상담 전화를 주셨습니다.
제주도 방문에 어려움이 있으신 토지주의 상황을 고려하여 사무실과 현장에서 모든 과정을 상담 전화만으로 진행하였으며, 신뢰 관계를 토대로 건축주께서 돌담하우스에 돌담 공사의 전권을 위임하시어 돌담 하우스가 대리인 자격으로 관공서 민원처리시공까지 완벽히 진행된 사례입니다.

동명리 돌담사진1

동명리 돌담사진2

동명리 돌담사진2

동명리 돌담사진4

구좌읍 펜션

설비 공사로 인해 기존 담이 허물어져 있던 공간에 계단 시공 및 돌담 공사가 진행되었던 사례입니다.

구좌읍 돌담사진1

구좌읍 돌담사진2

구좌읍 돌담사진2

구좌읍 돌담사진4